반응형
스크린 샷 |
||||
|
게임 치트 / 팁 / 비기 / 묘수 |
|
주절 주절 |
|||||||||||||||||||||||||
아케이드판 오프닝.
드림캐스트판 오프닝.
1 개요2 설명
드림 매치 시리즈로 지금까지 등장한 캐릭터 중 일부 캐릭터만 제외하고는 거의 다 등장한다.[1]
중국에서는 아직까지 한 오락실에 수십 개씩 돌아가고 있고 그 인기는 한국의 스타크래프트만큼 열정적이며[2]실력 또한 한국의 스타크래프트 수준이다.[3] 실제로 실력 랭크를 따져보면 중국>>>>>>넘사벽>>>>한국>일본>대만>>>>>넘사벽>>>기타지역 정도이며 특히나 괴물급의 유저인 대입구, 소년의 등장이 크다.
99 드림매치라는 제목으로 이식된 드림캐스트 버전의 경우 여러가지 변경점이 있었는데 배경의 3D화, 캐릭터 크기 축소[4], 빠른 로딩(다른 이식작에 비해서), 캐릭터 그림의 흔들림(캐릭터 타격시 에너지 게이지 옆의 캐릭터 그림이 흔들린다 한다), 특수효과의 반투명화, 밸런스 수정, 오프닝의 애니메이션화등이 있다.
3 밸런스
KOF 시리즈 중에서는 그나마 평가가 좋은 편. 아직까지 살아남아 돌아가는데는 이런 이유가 있다. 일단 전작KOF 97의 문제점을 손본 보완작에 가깝기 때문에 1년이라는 제작시간에 쫒겼던 다른 시리즈들보다 상태가 나은 편으로 초딩캐라 할만한 개캐나 심각한 무한 콤보 등은 적은 편.
워낙에 오래된 게임인 데다가 도트싸움+기본기싸움으로 진행되는 게임이다 보니 기본기가 좋은 캐릭이 절대적인 우위를 차지하게 되고 결국 B급, C급 캐릭은 숨도 못 쉬는 결과가 되었고, 대회가 되면 이치고크를 비롯해 로버트, 쿄, 각성 야시로, 랄프, 베니마루, 장거한, 타쿠마 정도만 나오며 극강의 실력을 자랑하는 중국의 경우는 이치고크, 쿄, 메마른 대지의 야시로, 로버트, 랄프 외에는 다른 캐릭을 거의(라고 쓰고 아예라고 읽는다.) 볼 수 없다. 밸런스가 좋다고 하지만 그것은 A급 캐릭끼리의 밸런스지 전체적으로는 02보다 한참 떨어진다는 평가가 있다.[6]물론, 대입구, 소년같은 괴물은 올랜덤으로도 잘~이긴다.
사실 과거 시리즈와 가장 큰 차별점은 대미지 감소다. 97까지만 해도 눈 깜빡하면 캐릭 하나 죽어있었지만 98에 와서는 기폭해야 97 노멀 수준의 데미지 수준이 되었고, 이후로도 이 정도의 데미지가 킹오파의 기준이 된다.
02에 비하면 치즈루 이외엔 강한 여캐를 찾아 보기 힘들다. 그나마 강한 캐릭터라면 블루 마리, 매튜어, 바이스정도.
4 시스템
전체적인 시스템은 97을 약간 손본 수준. 어드밴스드 모드에서는 3대3에서 캐릭터가 넘어갈수록 기 스톡의 총량이 많아지며, 기본 3개에서 마지막 캐릭터의 경우 5개까지 올라간다. 대신에 기폭발 후 MAX 초필을 날리면 기폭발 효과가 사라지게 되었다. 기폭발시 공격력이 상승하기 때문에 초필살기를 이용하지 않고 기폭발만 사용되기도 했다. 엑스트라 모드의 경우 캐릭터가 넘어가면서 모으는 기 게이지가 점점 짧아진다. 어드밴스드 모드에 비해서 불리하게 설정되어 있어서 무한나락 쿄, 브라이언 배틀러 같은 일부 캐릭터 조합을 제외하고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는다.
전작에서 호불호가 갈렸던 반바퀴류 단축 커맨드(↙→, ↘←)가 없어졌다.
5 이식
PS 및 네오지오 CD판은 언제나 그래왔듯 프레임 삭제가 거슬린다. PS로 이식되는 와중에도 새턴으로는 이식되지 않았고, 좀 시기를 늦춰 드림캐스트에 99 드림 매치라는 타이틀을 붙인채 이식되었는데 이 99 드림 매치는 애니메이션 오프닝과 배경의 3D화 등 KOF 최초의 초월이식작이라는데 그 의의가 있는 작품. 당연히 별도 롬팩 없이도 프레임 삭제 따윈 없다. 다만 304 X 224 해상도 기반의 캐릭터들 도트를 딱 두 배로 늘려 640 X 480 화면상에 보여주기에, 원작에 비해 캐릭터들이 작아보이는 느낌이 든다.
PS와 네오지오 CD, 드림캐스트판 모두 노멀 버전과 동일했던, 즉 별도로 존재하지 않았던 우라 캐릭터들의 포트레이트가 새로 추가되었으나 어찌된 연유인지 훗날 나온 KOF 98 UM에서는 이를 사용하지 않았다.
6 캐릭터 목록![]()
6.1 우라 버전 존재 캐릭터
----
[1] 안타깝게도 카스미, 에이지, 96 보스 팀은 짤렸다. 그 후에 두번째 판인 KOF98UM 에서는 출현하게 된다.[2] 인기는 KOF 97이 더 많다. [3] KOF 98의 고수는 한국에서 프로게이머 만큼의 인지도를 갖는다 [4] 304 X 224 해상도 기반의 스프라이트들을 그대로 2배로 늘려서 640 X 480 해상도에 적용시킨 결과 캐릭터가 작아보이는 효과를 낳았다. [5] 98UM의 크라우저 성능이 진폭수준 인 걸 보면 답 나온다. 게다가 렉까지. [6] 이건 만년 떡밥이다. 02가 더 잘 맞다는 이야기가 나온다면 98이 더 밸런스가 좋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쿨라VS맥시마(쿨라가 약발만 [7] 가정용에서만 선택이 가능하며 아케이드용에서는 선택이 불가능하다. 출처 : 엔하위키 - The King of Fighters '98 |
DownLoad - 압축을 풀면 나오는 "실행.EXE"를 더블 클릭 |
|
파일 |
|
간단 |
게임 실행 후 "Tab" 키를 누르면 아래와 같은 메뉴가 나옵니다. 다른 MAME버젼의 안내를 보고 싶다면 http://oldgamebox.tistory.com/11086 를 참조하세요. |
정보 더 보기 / 링크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