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스크린 샷 | |||
|
게임 치트 / 팁 / 비기 / 묘수 |
|
주절 주절 |
1 개최자와 우승자개최자 헤이하치 미시마. 우승자 카자마 진. 그러나 폴은 본인이 우승했다고 주장한다. 일단 에이션트 오우거는 쓰러트렸기에 폴의 주장이 아주 근거없는 주장은 아니었다. 다만 쓰러트린 고대오거가 이후 참오거로 변한걸 모르고 귀국해서 기권처리 되었다. 즉 준우승 처리. 개최자 미시마 헤이하치 우승자 카자마 진 준우승자 폴 피닉스 중간보스 미시마 헤이하치 최종보스 에이션트 오우거 → 트루 오우거 2 개요시대 배경이 2로부터 무려 19년이나 흘렀다는 설정으로 캐릭터들이 많이 리뉴얼 되었다. 폴 피닉스, 미시마 헤이하치, 레이 우롱, 니나 윌리암스, 안나 윌리암스, 요시미츠는 나이를 먹었고, 카자마 준, 백두산은 실종 처리. 미시마 카즈야는 사망 처리.[1] 쿠마, 킹은 2세로 교체되고[2], 카자마 진, 포레스트 로우, 화랑, 줄리아 창, 링 샤오유 등 마샬 로우, 미셸 창, 왕 진레이 포함 5명의 2세 격 캐릭터도 다수 등장했다. 사실 많은 격투 게임들이 이렇게 2세대를 내세우다 말아먹는 경우가 많은데, 철권의 2세대화는 이런 상황에서 드물게 반응도 좋았으며 이후에도 2세대가 대부분 정착된 것으로 보아 상당히 성공적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은 1세대가 복귀하게 되어 양세대 동시출전으로 굳어지게 되었다.(포레스트와 줄리아는 제외,바로 아래에 후술) 이유는 대부분의 1세대 캐릭터가 4,5,TT2에서 복귀했기 때문인데 이로 인해 여러 스토리가 급조되었고 캐릭수가 다시 늘어났으며 스토리가 완전히 파천황으로 가고 말았다. 3 세대 교체와 일부 예외적 케이스3.1 최초 출전 나이4 기타4.1 스테이지주 캐릭터=공유 캐릭터 포레스트=쿠마,팬더 헤이하치=줄리아 폴=브라이언 니나=건잭,안나 에디=타이거 요시미츠=모쿠진 다만 프로듀서는 이때의 일을 후회하고 있다고 한다. 스스로 목을 죈 격이라나. 그래서 철권 3 이후로는 더이상 19년씩 펑펑 뛰어넘지 않고 1~2년정도 넘는 등의 소심한 시간 전개를 보이고 있다. 5 성능 밸런스 및 시스템이 때부터 본격적인 3D 게임의 요소인 '옆으로 피하기(횡이동 혹은 축이동)' 라는 요소가 추가되었다. 2시절에는 카즈야와 두산만 사용가능(카즈야는 무족,두산은 플라밍고로 가능했음)했고 제한적으로 헤이하치와 요시미츠도 가능했다. 그래픽 역시 전작보다 미려해지고 ,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PS로 이식되어인기를 끌었다. 게임의 밸런스 또한 이때부터 훌륭하게 맞아떨어지기 시작. 철권 2에 비해서 시스템이 크게 바뀌었다. 다만 일부 캐릭터 성능 밸런스는 여전히 맞지 않는 편이다. 특히 카자마 진, 폴 피닉스등의 강력한 근접 공격기술과 반격기술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캐릭터들의 경우 일부 캐릭터들은 상대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게다가 1996년부터 1998년까지의 아케이드 버전의 경우에는 카자마 진, 미시마 헤이하치, 레이 우롱의 3대 개캐가 악명을 날렸으며[12] 그 외에도 동네에서는 폴 피닉스, 포레스트 로우, 니나 윌리암스등 사용하기 쉬우면서 강력한 캐릭터들이 큰 사랑을 받았었다. 심지어는 폴과 포레스트의 경우 붕권이나 촌경만 제대로 날려도 데미지가 100%였기 때문에 글자 그대로 날로 먹는 플레이가 가능했다. 30초 안에 올 퍼펙트로 플레이를 끝내는 영상이 있었을 정도. 기판이 시스템11에서 시스템12로 업그레이드 되었다. 그래픽적으로나 게임성 면에서나 엄청난 발전이 있었던 수작. 현재의 철권 시리즈의 모습은 3편에 와서 확립되었다고 보는 것이 옳을 것이다. PS로 이식은 과연 가능할까 싶을 정도의 퀄리티였는데 PS판은 폴리곤 수나 텍스처 면에서 약간의 다운그레이드가 있기는 했지만 '느낌'이란 면에서는 거의 그대로 이식하는데 성공해서 유저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안겨주었으며, 화려한 오프닝 및 ![]() 6 콘슬판 신 캐릭터와 전용 문양PS판 만의 신 캐릭터 추가도 있었다. 니나의 3P 컬러였던 안나가 알아주는 철권빠(…) 나가노 마모루의 오리지널 디자인 코스튬까지 합쳐서 별도 캐릭터화 되었으며, 보스코노비치 박사와 우정출연으로 생뚱맞게 곤(GON)이 추가되었다.[13] 또한 오리지널 모드로 철권으로 배구(…)하는 철권 볼 모드[14]와 철권 포스 모드가 있었다. 후에 PS2판으로 이식된 철권 5에 아케이드 히스토리 모드를 통해, 아케이드판을 완벽하게 재현한 버전이 이식되었다. 사족이지만 3에서만 캐릭터 전용 상징 문양이 있는데 서로 겹치는 캐릭터도 있으며 문양의 모양은 다음과 같다.(여기서 곤은 우정출연 캐릭터이므로 제외한다,참고로 문양은 줄리아의 것.) 진,헤이하치:번개 모양의 악마 표상 화랑:"맥" 한글자 샤오유:토끼와 구름 에디,타이거:발바닥(...) 폴:붉을 홍(紅)자 포레스트:쌍절곤(...) 줄리아:깃털(...) 건잭,보스코노비치:방사능 표시 쿠마,팬더:곰(...) 킹:미워할 오,악할 악(惡)자 요시미츠:우주닌자와 뒤의 수리검 니나,안나:톱니바퀴 안의 구두 모쿠진:나무(...) 브라이언:불꽃 문양 레이:오형권 상징 다섯한자. 오우거:양날의 창(혹은 담장) 문양 ---- [1] 하지만 카즈야는 안 죽었다! 미시마 카즈야 항목 참조.[2] 5dr에서는 아머킹도 2세로 교체된다,정확히는 2세의 정체가 1세의 친동생. [3] 글자 그대로 인기가 없었다면 후속작에 카메오나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등장할 리 없다.피규어도 발매됐었으니 제작진의 취향 때문에 짤린 셈. [4] 사실은 미셸도 재출전 요청이 많은 캐릭터였고 인기가 없었다면 왕처럼 셀렉률과 플레이 유저가 정비례로 줄어들어야 정상이다. [5] 다만 사용하는 무술은 다르다. [6] 세대 교체가 완전히 이뤄진 케이스 [7] 제작진의 취향 때문에 세대가 재교체 된 케이스 [8] 사실상 준의 2세대는 아스카지만 진이 준의 친아들이기 때문. [9] 사용하는 무술이 같아서 사실상 2세대,그래서 태그1에서 공용 대기포즈가 존재한다. 덧붙여서 둘 다 과거의 직업이 형사였다. [10] 4의 크리스티는 에디의 2세대가 되며 원래 3에 나올 예정이었으나 시스템상 재현이 불가능해서 4에서야 나온 것이다. [11] 헤이하치,오우거를 제외한 타임릴리즈 캐릭터는 전부 아케이드판 한정으로 줄리아 테마곡이 흘렀다. [12] 오우거(철권)도 성능으로는 뒤지지 않았지만 유저가 적었다. [13] 참고로 말하자면 두 캐릭터 때문에 밸런스가 붕괴될 뻔 했다,하단 공격만 통했기 때문.(...) [14] 태그1에서는 볼링을 하는 "Tekken Bowl"이 있었다. 출처 : 엔하 위키 |
DownLoad - 에뮬레이터의 Roms디렉토리에 압축해제 하세요 | |
에뮬 |
|
롬 파일 |
정보 더 보기 / 링크 |
반응형
'Zinc 1.1 / [ZINC] > 액션/아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ZINC] 돈데모 크라이시스! - Tondemo Crisis!, とんでもクライシス!, Incredible Crisis (0) | 2013.06.22 |
---|---|
[ZINC] 철권 2 - Tekken 2, 鉄拳 2 (1) | 2013.06.22 |
[ZINC] 철권 - Tekken, 鉄拳 (2) | 2013.06.22 |
[ZINC] 스트라이더 2 - Strider 2, 스트라이더 히류 2 - Strider Hiryu 2, 스트라이더 비룡 2 - ストライダー飛竜2 (0) | 2013.06.22 |
[ZINC] 스트리트 파이터 EX2 Plus - Street Fighter EX2 Plus,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EX2 Plus (0) | 2013.06.22 |
[ZINC] 스트리트 파이터 EX Plus - Street Fighter EX Plus,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EX Plus (0) | 2013.06.22 |
[ZINC] 스트리트 파이터 EX2 - Street Fighter EX2,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EX2 (0) | 2013.06.22 |
[ZINC] 스트리트 파이터 EX - Street Fighter EX, ストリートファイターEX (0) | 2013.06.22 |
[ZINC] 소울 엣지 - Soul Edge, ソウルエッジ (0) | 2013.06.21 |
[ZINC] 사이킥 포스 - Psychic Force, サイキックフォース, 사이킥 포스 EX - Psychic Force EX, サイキックフォースEX (0) | 2013.06.21 |